우연한 기회에 잘아는 회사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면접에 참여하게 되었다. 거기 사장님이 참좋으신 분이라 더 가까워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도 같고, 소프트웨어 개발이 주업종이 아닌 회사에서 개발자를 구하는 것이라서, 내가 면접에 참여하면 약간이라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같았다.


SW개발자면접에 참여하다

회사는 강남역근처에 있고, 아담한 건물의 한층을 쓰고 있는데, 사무실 곳곳에 책과 서류가 쌓여있고, 곳곳에 있는 화이트보드에는 활발한 토론이 있었던 듯 아직 지워지지 않은 회의주제들이 적혀있었다. 면접장소인 회의실 역시 책과 서류, 두개의 커다란 화이트보드가 차지하고 있어서 좀 좁게 앉아서 면접을 진행하였다.


이미 회의실에 자리를 잡고 앉아있는 면접자는 30대중반의 침착해보이는 인상의 개발자였다. 자기소개를 부탁하니 몇몇 회사를 거치면서 닷넷과 DBMS쪽만 10년이상 했다고 한다. 회사시스템이 주로 닷넷기반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닷넷전문가를 찾는 것같았다. 이력서상에 있는 몇가지 경력에 대해 좀 자세히 물었더니 침착하게 잘 대답한다. 생각이 잘 정리되어있고 침착하다는 것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써 좋은 덕목이다.

이력서에 없는 몇가지 기본적인 기술에 대해서 물었다. 즉, 닷넷이 아닌 유닉스나 다른 개발언어, 다양한 개발 프레임워크에 대한 대한 질문을 했다. 학생때 보기는 했지만 모른다고 간단하게 대답한다. 음... 이런 자기계발에 별로 신경을 안쓰는 타입인가? 최근에 목표를 세우고 달성한 것들이 있는 지 물었더니 그런 건 없다고 한다. 역시 그렇군, 성실하지만 자기계발에는 소홀한 전형적인 직장인 타입이다. 그럼 잘안다고 하는 닷넷과 DBMS쪽에 대해서도 항상 쓰는 기능밖에 안쓰는 것일 수 있어서 좀 자세히 물었다. 예상대로 대부분의 작업을 UI를 사용한다고 한다. 커맨드라인을 사용하는 것은 관심조차 없는 것같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감각이 있는 지 확인하고 싶어서, 전자계산학을 전공했으니 간단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거나 칠판에 쓰는 게 가능하냐고 물었더니 할 수 있겠다고 한다. 그래서 링크드 리스트의 특정한 노드하나를 삭제하는 알고리즘을 가장 잘아는 언어를 이용해서 칠판에 써달라고 했다. 물론 키보드와 마우스없이 칠판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멘트도 했다. 문제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같다. 이번에는 입력과 출력을 구체화 시켜서 다시한번 문제를 설명했다. 그래도 이해하지 못하는 것같다. 좀 당황스럽다.

이대로 종료할 수도 있겠지만, 한번 더 기회를 주고 싶어서 간단한 소팅 알고리즘을 칠판에 써보라고 했다. 이번에는 자신있게 칠판에 나가서 머뭇거리며 몇줄을 썼다. 써놓은 것을 보니 소팅을 위한 for 문장을 두개 써 놓았는데 index variable의 경계값도 명확하지 않고, 구체적인 내용은 ... 으로 되어있다. 심지어 swap도 들어있지 않다. 그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적어 달라고 했더니 그냥 하면 된단다. ㅡㅡ;; 입력과 출력부분이 없다고 했더니 이제는 화를 낼 태세다. 칠판에 써놓은 소팅알고리즘을 무엇이라고 하느냐고 했더니, 면접을 이렇게 한다고 미리 말해주지 않았다고 불평한다. 음... 그래서 먼저 할 수 있느냐고 양해를 구했고 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았냐고 했더니 진정한다.
 
칠판에서 프로그래밍하는 건 어렵다. 특히 면접관들이 지켜보고 있으면 훨씬 더 힘들다. 그렇지만 10년넘은 프로그래머라면 더구나 전문가라면 버블소팅같은 간단한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할 수 있어야 한다.


T자형인재가 진짜 전문가

좋은 인재는, 특히 융합이나 연계가 중요해진 IT분야의 전문가는 여러가지 분야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하고 자신의 전문분야에서는 어떠한 문제도 해결할만한 자신감과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런 인재를 T자형 인재라고 부르는 데, 영문자 T가 넓게 알고 한가지 분야를 깊게 판다는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특정분야의 전문가에 대해서 다른 분야를 모르는 사람이라고 잘못판단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유닉스시스템과의 연계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나는 닷넷전문가라서 유닉스쪽은 모른다는 말을 쉽게 하고 주변에서는 그말을 인정해준다. 닷넷전문가라도 다른 개발환경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아야 하는게 당연하다. 그리고 닷넷에 대해서는 API하나하나까지 또 여러가지 닷넷언어들에 대해서 훤하게 알아야 한다. DBMS 전문가라고 해놓고 기초적인 SQL문법밖에 몰라서 되겠는가?

자바전문가라면 DB나 네트워크, 다른 개발언어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알고 있고 자바에 대해서는 JVM 소스코드까지 훤하게 꿰뚫고 있어야 한다. 안드로이드 전문가라면 안드로이드에서 APP만드는 정도로 그쳐서는 안되고 다양한 기기에 안드로이드를 포팅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해낼 수 있어야 한다. 파이썬 전문가라면 파이썬은 원래 속도가 안나는 것이라고 치부할게 아니라 관련된 파이썬 인터프리터 소스를 고쳐서 자신만의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만들어야 하고, 오라클 전문가라면 UI를 통해서 매니지먼트하는 것뿐만아니라 여러가지 프로세스들의 세부사항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진짜 전문가라고 하면 "그거는 아마 이게 문제일 겁니다", "로그 파일 좀 줘보세요", "30분만 시간을 줄수 있어요?"라고 말하고 바로 컴퓨터 앞으로 달려가는 사람이어야 한다.

우리회사는 특정한 언어(특히 자바나 ASP)만 할 줄 아는 사람, 특정한 업무만 하려는 사람은 면접과정에서 자연스레 배제된다. 개발언어와 도구를 가리지 않아야하고, 특정 프레임워크에 얽매이는 사람도 안된다. 옆에서 누군가 보고 있는 상태에서도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야 하고, 하드웨어를 다루는 것에 대해서도 거부감이 없어야 하고 어떤 업무를 주어져도 해당 업무에 적합한 도구를 찾아서 빨리 적용해야 한다. 그래서 회사에 입사하는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한일자(一)형이다. 회사내에서 자신의 전문분야를 찾아서 T자형으로 만드는 것이 숙제로 남아있을 뿐.

짬밥을 많이 먹었다고 자동으로 전문가가 되는 게 아니다. 분명히 자기계발을 꾸준히 해야만 전문가가 되는 것이다. 십년 일했다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학원에서 몇달배운 사람과 별차이가 없는, 내공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한분야에서 오래 일했다고 하면 드러내지 않아도 자연스레 내공이 느껴지도록 해야 하지 않을까?

면접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지 모르지만, 일단 면접관으로 참여했기에 소신껏 부정적인 평가의견을 냈다. 일이년차라면 몰라도 십년경력의 전문가로 뽑기에는 자기계발이 부족하다는 게 이유였다. 그 회사가 소프트웨어 개발회사가 아니라서 지원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당장에 일을 하기 위해서는 뽑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기 때문에 최종결과가 어떻게 되었는 지 모른다.
 
그날 면접보셨던 분에게 행운이 있기를...

출처 : http://allenjeon.tistory.com/
출처 :   2010/09/05 13:18 http://job123.wo.tc/50095636454

미래의 관리자는 T자형 인재들이 차지할 것으로 예견
필자는 지난 호 특집기사를 통해 미국에서의 성과주의 보상이 그 효율성과 타당성의 측면에서 도전을 받고 있으며, 그러한 도전이 보다 근본적인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그로 인한 전략과 조직의 운영 원칙들의 변화에 기인하고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파레토 법칙이나 혹은 “한명의 천재가 수천명을 먹여살린다”는 엘리트 중심적 사고는 점차 그 힘을 잃어가고 있다. 조직의 핵심적인 경쟁우위는 특정 몇명의 개인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조직의 경쟁력은 조직 구성원 각 개인의 능력이 효과적으로 협력과 조화를 이뤄, 개인 능력의 단순합 이상의 어떤 것, 이전의 것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것들을 창출함으로서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문제의 복잡성이 그 어느때 보다도 높아졌기 때문에, 한두사람이 기존에 가지고 있는 해결책이나, 지식만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조직의 성과를 각 개인차원의 기여로 환원하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하다. 이러한 변화는 페이스북(Facebook)이나 트위터(Twitter)로 대표되는 소셜미디어의 발달이라는 현상 속에서 단적으로 발견된다. 웹서비스의 사용자는 과거와 같이 전문가(SME)가 생성한 정보와 지식을 일방적으로 검색하고 흡수하는 수동적인 사용자가 아니다. 이들은 타인과의 연대에 적극적이며, 다른 사람의 지식과 자신의 지식을 통섭하면서 관계와 지식의 고리들을 생산해 내는 적극적인 사용자라 할 수 있겠다.
바야흐로 1.0의 시대에서 2.0시대로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2.0의 시대에서는 지식의 공급자와 수용자라는 이분법적 구분은 모호해 지고 모든 사람들이 생산자이며 소비자가 되며, 이와 같은 지식의 생산과 소비는 개별적이기 보다는 집단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으로 이뤄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환경의 변화와 조직의 운영원리가 변화함에 따라 조직에서 원하는 인재의 모습도 달라질 수 밖에 없는데, 이와 관련해 최근에는 “T자형 인재”라는 개념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UC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의 한센(Morten Hansen)교수에 의해 개념화 되었다. 한센교수는 T자형 인재야 말로 오늘날 조직에 가장 필요로 하는 인재형이며, 미래의 관리자 자리는 모두 이 T자형 인재들의 차지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T자형 인재란 어떤 한 분야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다른 영역과 잘 융합되고 협력하며 통섭할 수 있는 인재를 의미한다. 이 개념은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다른 분야에 대해서도 개론적인 수준의 지식을 습득한, 다시 말하면 스페셜리스트이자 제너럴리스트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의 T자형 인재와는 조금 다른 뉘앙스를 갖는다.
즉, 다른 분야의 지식을 아는 것 보다도, 그러한 지식과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라든지, 또 이렇게 습득한 각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효과적으로 결합해 새로운 혁신적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창의성 및 조직 전반에서 이러한 지식의 공유와 협력이 일어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구성원들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쉽 능력이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 개인적인 능력은 뛰어나지만, 자신과 다른 분야의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소위 “외로운 스타(lone star)”들은 현재와 미래에 조직에서 원하는 리더의 모습이 아니라는 것이다.
T자형 인재의 기본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가적 지식
T자형 인재에 대한 강조는 브랜드마케팅 분야의 석학인 아커(David Aaker) 교수의 주장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저서 「스패닝사일로(Spanning Silos)」를 통해, 그동안 대기업들이 운영해 왔던 제품별 혹은 지역별로 분권화된 마케팅 조직이 비효율 및 비용의 주범이라고 지적하면서, 보다 전략적이고 총체적인 브랜드 및 제품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독립채산제를 골간으로 지역이나 제품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사업부제 조직 형태는, 비용과 매출을 각 사업부에 귀속시킴으로서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메리트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평가를 기초로 해 인센티브 지급, 구조조정, 퇴출 등의 당근과 채찍 등의 조직관리 수단을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서 조직의 긴장감을 높이고 상호 경쟁을 유도해 계량적인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장점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조직의 운영 방식은 사업부 이기주의를 심화시키고 회사전체가 공유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해악을 낳는다. 아커는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이 심화됨으로서 전체 조직의 브랜드경쟁력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된다고 주장했다. 경쟁과 협력 중 어느 쪽이 더 기업의 경쟁력에 도움이 줄 것인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위에서 언급했던 한센교수의 최근 저서 「협력 (Collaboration: how leaders avoid the traps, create unity, and reap big results)」이라는 책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 책에서는 부문간의 경쟁이라는 전략을 채택한 소니(Sony)와 이와는 반대로 부서간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전략을 채택했던 애플(Apple)을 비교하고 있다. 2004년 소니는 애플의 히트상품 중 하나인 아이포드(i-Pod)와 유사한 제품을 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2007년 매출부진으로 그 제품을 사장시킬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이 제품이 시장에서 실패했던 가장 큰 이유는 경쟁에는 익숙하면서도 협력의 경험을 갖지 못했던 각 부문(silos)간의 의견의 차이가 제대로 조정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반면, 애플의 경우 출시초반 부진한 실적 속에서도 부문 간의 개선 의견이 지속적으로 토론되고 이렇게 토의된 개선 아이디어가 제품에 꾸준히 반영되면서 최고의 히트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는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전략의 이슈가 결국 조직 운영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음을 보여준다. 조직은 각 부분과 기능들이 마치 하나의 유기체처럼 통합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의 자극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때에 조직으로서의 의의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의사결정 및 실행의 속도가 강조되면서 더욱 가속화 되어 온 분권화(decentralization)나 권한이양(empowerment), 유연성 및 효율성을 제고시켜 줄 것으로 믿어져 온 아웃소싱(oursourcing) 경향과 정반대 방향의 흐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이러한 흐름이 업무의 표준화나 조직의 서열, 계층화에 기반을 둔 과거의 관료주의(bureaucratic) 모델로의 회귀가 아닌 메트릭스 조직(matrix organization)과 같은 보다 유연하면서도 다양한 지식과 역량을 가진 개인들의 창의적 결합을 촉진시키는 제3의 방향을 지향하는 변화가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차원의 창발성과 조직차원에서의 통합이라는 조직적 변화 트렌드에 가장 적합한 스타일의 인간형이 T자형 인재이다. T자형 인재의 기본은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가적 지식이다. 여러 분야를 대충 아는 것 보다 한 가지라도 남들이 따라오지 못하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어야 바로 그 분야에서 다른 누구도 생각지 못한 아이디어가 창출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특정분야의 전문가라고 할지라도 다른 분야와 소통, 협력할 수 있는 능력과 인성이 부족한 I형 인재는 개인기 보다는 협력이 더 중시되는 조직의 리더로서 적합하지 못하다.
T자형의 융합형 인간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
IT기업 선가드(SunGard)사의 CEO인 콘(Christobal Conde)은 오늘날 리더의 역할은 조직내의 모든 의사결정이 협력에 기반해 이뤄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사실 협력을 기반으로 한 조직시스템은 지난 10년간의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에 대한 논의 등을 통해서 일찌기 강조되고 있었다. 하지만 기존에 논의되었던 지식경영시스템은 단순히 각자가 아는 것을 특정 장소에 공유함으로서 이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이 지식을 활용할 수 있게 한다는 목적을 가진 것으로서, 분리되고 객체화 된 지식 및 인간에 대한 가정을 근본으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미래의 조직적 변화에서 요구되는 협업이라 함은 지식이 지식의 소유자와 분리되어 이전되는 것이 아니라 지식 소유자들 간의 협력이라는 매개를 통해 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결과물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보다 인간적이며 사회적이라는 데 차이가 있다.
T자형 인재라는 개념 자체는 매우 단순해 보이지만 사실 제대로 된 T자형 인재를 발견하기란 그리 쉬운일이 아니다. 자신의 분야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 외골수인 경우가 많고, 다른 사람들의 말을 잘 듣지 않으며 자신의 지식과 전문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독불장군식 행동을 하는 경향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디자인 회사인 IDEO의 CEO 브라운(Tim Brown)은 직원을 채용할 때 지원자들의 이력서보다는 면접을 통해 T자형 인재를 찾아낼 수 있다고 한다. 과거의 업무경험에 대한 질문을 통해 그 사람이 얼마나 다른 사람들과의 협력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 얼마나 협력에 익숙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I형인재 보다 T형 인재를 뽑으려 할 때는 훨씬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지원자를 평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T자형 인재는 어떻게 개발될 수 있을까? 먼저 학교를 통한 정규교육 프로그램에서 부터 T자형의 융합형 인간을 키워내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학부나 대학원 프로그램에서 학제간 연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교수와 학생간의 이동과 교류를 보다 활발히 촉진시킴으로서 자신의 전공분야 이외의 다른 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대학교육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조직 내에서 실시되는 교육훈련의 경우에도 강의실위주의 인지적인 방식보다는, 실제 상황 속에서 과업을 수행하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방식이나 팀빌딩(team building), 그리고 보다 정서적인 측면 혹은 인간적 측면의 능력을 배양하는 소프트스킬 트레이닝(soft skill training) 방식의 교육훈련이 조직능력개발이나 리더십 훈련의 중심 트렌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상황이 이러한데, 아직도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학습의 전부라 믿고 있으며, 좋은 회사에 취직하기 위해서 점수화 되고 계량화된 스펙 쌓기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는 우리 청년들의 현실이 안타깝다.
조성준 _ 美 뉴욕 Utica College 경영학과 교수
* 출처 : 월간 인재경영 GLOBAL REPORT_ Trend 2010년 9월 첫째 주 소식 태그저장  취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