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설명드린 현대암호의 범주 안에서도 대칭키암호에 들어가는 블록암호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록암호의 정의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평문(Plaintext : 암호화 되기 전의 원 정보)이 n 비트일때, 암호문(Ciphertext) n 비트는

K 가 고정되면 Ek( ) 가 bijective 함수 라던지,
키 사이즈가 log2 |K| = k 라는건 ... 기본(?) 이겠지요 ;;


어때요 ... 참 쉽죠 ?

텍스트큐브에서도 그랬지만 ... 티스토리도 수식은 안써지니 ...
(뭐 그래서 예전 블로그 그림을 그냥 그대로 가져왔지만서도요 ;;)


그림으로 간단히 표현하면 ... 이렇습니다 ...
(이것도 이전 블로그 포스트에 있던 그림입니다 ... 투철한 재활용 정신이랄까요 ;;)



블록암호는 그 구조에 따라 Feistel 구조와 SPN 구조 ... 으로 나뉩니다
(... 등에 신경쓰시면 안됩니다 ;; 사실 두 구조를 가장 많이 쓰지요 ...)

▶ Feistel 구조

Feistel 구조는 아래 그림과 같이 평문의 좌우를 나누어 키와 조합한 뒤, XOR 연산을 거쳐
좌우를 뒤집어주는 ... ... 구조입니다 ...



암호학에 있어 Shannon의 Confusion과 Diffusion 이 중요한데 ... (이건 다음에 다루기로 하지요 ...)
아무튼 반복 연산을 통하여 Confusion과 Diffusion을 만족시킵니다.

좌우를 뒤집어가면서 연산해야 하므로 병렬연산이 어렵고,

SPN 구조에 비교하여 동일한 Confusion/Diffuison을 만족시키려면,
SPN 구조의 두 배에 해당하는 반복연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성능 측면에서는 효율적이지 못할지도 모르지만

암호화와 복호화 과정이 동일하기 때문에 별도의 복호화기가 필요 없습니다 ...

그게 매우 큰 장점이지요 ...
A xor B = C 일때, C xor B = A 라는 것을 생각해보시면 쉽개 아실 수 있을겁니다.


▶ SPN 구조

SPN은 .. Substitution - Permutation Network의 약자로

말 그대로 Substitution Layer와 Permuation Layer를 이용하여 Confusion과 Diffusion을 만족시켜주는 암호입니다.

간단하게 밑의 그림과 같이 단순합니다 ...


장점이라면, Feistel 구조와 반대로 병렬연산이 가능하며

단점이라면 복호화시 별도의 복호화 모듈을 구현해줘야 한다는 것이지요


▶  블록 암호의 종류

전 세계적으로 매우 많은 종류의 블록 암호가 있고, 많은 암호들이 사용중/ 혹은 보류(?) 상태 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AES DES(T-DES) SEED ARIA 가 주로 사용되고
그 외의 알고리즘은 별로 사용되지 않는다고 보시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서론이 조금 길었지만 다시 ... 간단하게 블록암호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면,
블록암호는 앞서 Feistel 구조와 SPN 구조 등으로 나뉜다 볼 수 있다 하였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Feistel 구조와 SPN 구조를 가장 많이 쓰긴 합니다만,
경우에 따라 두 구조의 혼합 구조나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 Feistel 구조
  - DES
  - SEED
  - FEAL
  - LOKI
  - BLOWFISH
  - KASUMI

▷ SPN 구조
  - AES
  - ARIA
  - SHARK
  - SAFER
  - SERPENT
  - CRYPTON
▷ 기타 구조

  - SKIPJACK
  - BEAR
  - LION
  - IDEA

간단하게 제가 알거나 가지고 있는 자료는 이정도 뿐이라 ...이정도 밖에 기술하지 못하지만
세상에는 이보다 더 많은 수의 블록암호가 존재합니다.

아직 언급하지 않은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되는대로 다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reinliebe.tistory.com/

'Security > Cryp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학 - Block Cipher :: AES C# 소스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AES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DES C# 소스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DES  (0) 2011.05.07
암호학 - Introduction  (0) 2011.05.07
암호학개론과 관련된 서적을 보면 암호학의 역사부터 언급을 합니다.
(물론 책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개론 서적은 그런 듯 했습니다)

그래서 고대 로마시대의 율리우스 시저가 썼던 치환 암호부터 설명이 나오지만 ... ... ...

저는 깔끔하게 현대 암호만 포스팅 합니다...
(뭐 ... 제 암호 포스트라 해 봐야 ... ... 프로그램 언어 소스나, 논문 및 서적 요약, 상세 기술 표준 문서 정도 뿐입니다만)

아무튼 간단하게 암호학의 범주를 보면 ...

  - 고전암호
  - 현대암호 ┬ 대칭키암호(Symmetric Key Cipher) ┬ 블록암호(Block Cipher)
  - 현대암호 대칭키암호(Symmetric Key Cipher) └ 스트림암호(Stream Cipher)
  - 현대암호 └ 비대칭키암호(Asymmetric Key Cipher)

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현대암호가 대칭키암호와 비대칭키 암호로 나뉜다 하였는데,
대칭키 암호와 비대칭키 암호의 가장 큰 차이는
암호화 할 때 쓴 키와 복호화 할 때 쓰는 키가 서로 같으냐 틀리냐에 따라서 구분된다 보면 됩니다.

다시 말해, 암호화 할 때 쓴 키와 복호화 할 때 쓴 키가 서로 같으면 대칭키
암호화 할 때 쓴 키와 복호화 할 때 쓴 키가 서로 다르면 비대칭키 지요 ...

즉 대칭키의 경우 암호문을 서로 주고받는 사람들 사이에 같은 키를 사용해야기 때문에
키 분배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 한 것이 비대칭키 암호 알고리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대칭키 암호의 특징

   - 장점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름
     구현이 용이 (적은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
     키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음
     다양한 암호 메커니즘의 원천(primitive)으로 사용 가능
     역사가 길어 다양한 이론이 수용되어 있음

   - 단점

     키는 두 사용자 모두 반드시 비밀로 간직해야 함
     여러 사용자를 위해서 관리해야 할 키의 개수가 많음
     강한 안전성을 위해서 빈번한 키의 교체가 요구됨
     디지털 서명등의 기법에 적용하기 곤란
     안전성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움
 

▶ 비대칭키 암호의 특징

   - 장점

     개인키만을 비밀로 간직하기 때문에 키 분배의 문제가 해결 가능
     여러 사용자를 위한 키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음
     사용 모드에 따라 상당 기간 동안 키 교체가 불필요
     효율적인 디지털 서명 메커니즘을 제공

   - 단점

     데이터 처리 속도가 상당히 느림
     일반적으로 키의 길이가 김
     공개키 인증 절차가 필요함
     대부분 안전성이 수학적 난제에 의존함
     역사가 짧아 안전성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음


일단 일반적으로 암호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이 나와있는 서적이나 참고 문헌에 나온걸 정리하면
이렇습니다만 ...

다소 테클이 들어올 만한 (?) 내용들이 있지요 ...
가령 ... 비대칭키 암호가 키분배 문제가 해결되었다던가 ... 등은
PKI, 즉... 키 관리를 위한 제 3의 신뢰할만한 기관이 필요 하다던가 ... 그런 문제는 깔끔하게 배제한 채
그냥 교과서적으로 말하면 그렇다는거니 ... 넘어가도록 합시다 ...

출처 - http://reinliebe.tistory.com/

'Security > Cryp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학 - Block Cipher :: AES C# 소스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AES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DES C# 소스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 DES  (0) 2011.05.07
암호학 - Block Cipher  (0) 2011.05.07

VI 명령어 모드 3가지  
1) ESC 모드  
2) 편집모드  
3) ex모드  

ESC 모드에서 사용되는 명령어  
^        :  현재줄의 맨앞  
G        :  화일의 맨끝  
0        :  현재줄의 맨앞  
$        :  현재줄의 맨뒤  
%        :  짝을 이루는 기호 확인하기  
w        :  다음 단어  
b        :  이전 단어  
e        :  현재 단어의 끝 글자  

커서 움직이기  
글자 단위 이동  
k        :    위쪽  
j        :    아래쪽  
h        :    왼쪽  
l        :    오른쪽  
           
             
   줄 단위 이동  

^       :   줄의 맨앞  
0       :   줄의 맨앞  
$       :   줄의 맨뒤  
%       :   짝을 이루는 기호 확인  

+       :   다음줄의 첫번째 글자  
-       :   윗줄의  첫번째 글자  
n|      :   현재줄의 n 번째 열  
H       :   화면상에 처음줄  
nH      :   화면상의 처음줄로부터 n 줄 밑으로  
M       :   화면상의 중간줄  
L       :   화면상의 마지막줄  
nL      :   화면상의 마지막줄로부터 n줄 위로  

G       :   맨 마지막줄  
nG      :   n 번째줄  
gg      :   맨 마지막줄  
ngg     :   n 번째줄  
:n      :   n 번째줄  

단어 단위 이동  
w       :   한단어 오른쪽  
b       :   한단어 왼쪽  
e       :   현재 단어의 끝으로 이동  
E       :   현재 단어의 끝으로 이동 (영문만)  
)       :   다음 문장의 시작  
(       :   이전 문장의 시작  
}       :   다음 문단의 시작  
{       :   이전 문단의 시작  
]]      :   다음 섹션의 시작  
[[      :   이전 섹션의 시작  

화면단위 이동  
z                     커서의 위치와 함께, 화면상의 맨위  
nz                     n번 라인을 화면상의 맨위  
z.                     커서의 위치와 함께, 화면상의 중간  
z-                     커서의 위치와 함께, 화면상의 맨아래  
Control - F(orward)    한화면   밑으로 이동.  
Control - B(ackward)  한화면   위로   이동.  
Control - D(own)      반쪽화면 밑으로 이동.  
Control - U(pon)       반쪽화면 위로   이동.  
Control - E           커서는 현재위치 그대로 화면만 한줄씩  
                                위로   이동  
Control - Y           커서는 현재위치 그대로 화면만 한줄씩  
                                아래로 이동  
Control - G           현재 편집문서의 정보 보여주기  
Control - L           글자가 깨졌을 경우 화면 재표시  
                            (=Control - R)  
     
편집하기  
복사/ 붙이기/ 합치기  
y          복사하기  
yy         한줄복사  (=Y)  
nyy        n줄 복사  
yw         한단어 복사  
y2w        두단어 복사  
yG         문서의 끝까지 복사  
p          붙이기  
np         아래로(오른쪽으로) n번 붙이기  
P          위로(왼쪽으로) 붙이기  
nP         위로(왼쪽으로) n번 붙이기  
J          두줄 합치기  
nJ         n줄 합치기  

지우기/바꾸기/되살리기  
d          지우기  
dd         한줄지우기  
ndd        n줄지우기  
dw         한단어 지우기  
dG         문서 끝까지 지우기  
D          그줄 끝까지 지우기 (=d$ 와 동일)  
c          바꾸기  
cc         한줄바꾸기  
ncc        여러줄 바꾸기 (n 은 임의의숫자)  
cw         한단어 바꾸기  
ce         한단어 바꾸기 (공백 제외)  
C          그줄 끝까지 바꾸기 (=c$ 와 동일)  
r          한글자 바꾸기  
R          바꾸면서 덮어 쓰기  
s          한글자 지우고 insert 모드로 (=cl )  
S          한줄지우고 insert 모드로 (=cc)  
~          대문자 / 소문자 바꾸기 (영문만)  
u          되살리기  

찾기  
/          찾기반복 - 위에서 아래로 (=n)  
?          찾기반복 - 아래에서 위로(=N)  
fn         현재줄에서 한 개의 n문자 찾기  
Fn         현재줄에서 반대방향으로 한 개의 n문자 찾기  
tn         현재줄에서 n문자를 찾아서 앞에 커서놓기  
Tn         현재줄에서 반대방향으로 n문자를 찾아서 뒤에 커서놓기  
;          현재줄에서 한글자 찾기반복  
'          현재줄에서 한글자 찾기반복 (반대방향으로)  

편집모드 지정하기  
i          현재커서위치  
I          현재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처음에  
a          현재커서위치 바로 다음에  
A          현재커서가 위치한 줄의 맨끝에  
o          현재커서위치 바로 아래줄에  
O          현재커서위치 바로 윗줄에  

ex 명령어  
:n,n1 co n2           n줄 부터 n1줄 까지 n2줄 이후로 복사.  
:n,n1 d               n1줄 부터 n2줄 까지 삭제.  
:.,$ d                현재줄부터 끝까지 지우기  


g 옵션 붙이기  
:g/word            화일전체에서 마지막으로 word이 쓰여진 줄로  
가기  
:g/word/ p         화일전체에서 word이 있는줄 보여주기  
:g/word/ nu        화일전체에서 word이 있는줄을 번호와 함께 보  
여주기  


g 옵션과 바꾸기  
,n s/old/new/g    rn 줄부터 n줄까지 old라는 문자를 new문자로  
                        바꾸면서 확인하기.      :%  
s/old/new/g       처음줄부터 마지막줄까지 old라는 문자를  
                         new문자로 바꾸기  

읽기  

:r filename(=ex /usr/local/test)      현재위치에 filename  
                                     (=ex /usr/local/test)  
                                     읽어들이기  

다중편집하기  
      형식  vi file1 file2 file3  
:args           편집중인 화일목록 보여주기  
:n              다음 화일로 넘어가기  
:prev           이전화일로 돌아가기  


새로운 화일 편집하기  
:e file_name         새로운 file_name 편집하기.                
:e!                  현재의 편집중인 내용을 무시하고 가장  
                    최근에 편집한 내용을 다시편집하기  



저장 및 종료하기  
:w                     저장하기 (write)  
:q                     종료하기 (quit)  
:wq                    저장하고 종료하기  
:x                     저장하고 종료하기 (:wq 와 동일)  
:w!                    강제로 저장하기  
                      (read-only 로 열었을경우)  
:wq!                   강제로 저장하고 종료하기  
:q!                    편집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기  
:w fillename           새로운 파일이름으로 저장하기  
:w %.new               현재화일 이름에 .new 라는 새로운  
                      확장자로 저장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egrep , awk  (0) 2011.05.14
YUM 사용법  (0) 2011.05.13
GNU screen  (0) 2011.04.23
/etc/sysconfig/i18n - 시스템의 한글 깨짐 문제 해결  (0) 2011.04.23
cut  (0) 2011.04.15

1. Editing( 편집 )

1-1 커서 이동 / Windows 이동
  • Ctrl + D :  줄 삭제
  • Ctrl + Alt + ↑(위)/↓(아래) : 줄 복사
  • Ctrl + Shift + Enter : 현재 줄에서 새줄 추가
  • Shift + Enter : 다음 줄에 새줄 추가
  • Ctrl + L : 원하는 라인으로 이동
  • Ctrl + →(Right) : 다음 문자로 이동 
  • Ctrl + →(Left) : 이전 문자로 이동
  • F10 : 메뉴창을 활성화
  • Ctrl + F8 : 다음 Perspective로 이동
  • Ctrl + N :  새로운 파일 및 프로젝트 생성
  • Ctrl + Shift + ↓(Down) : Java Editor에서 다음 member로 이동
  • Alt + < : 이전 작업 화면
  • Alt + > : 다음 작업 화면
  • Ctrl + 1 :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 곳에서 Ctrl + 1을 누를 경우 컴파일 에러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
1-2 주석
  • Ctrl + Shift + / : 주석 처리 
  • Ctrl + Shift + \ : 주석 풀기
  • Ctrl + / : 라인별로 주석처리

1-3 검색
  • Ctrl + J : 점증적 검색(키 수행 후 원하는 단어 입력하면 이클립스 하단바에서 찍히고 바로 검색 가능
  • Ctrl + K : 다음 찾기
  • Ctrl + Shift + K : 이전 찾기 
  • Ctrl + H : 검색 다이얼로그(메서드, 타입, 패키지 등 검색 가능
1-4 Tab 기능 / 코드어시스트
  • Tab : 들여 쓰기
  • Shift + Tab : 내여 쓰기
  • Ctrl + Space bar : 코드어시스트(키보드 Type3을 쓸 경우에는 왼쪽 Ctrl을 누른 상태에서 오른쪽 Ctrl을 누르고 왼쪽 Ctrl을 뗀 후에(오른쪽  Ctrl은 누른 상태) Space를 눌러 준다.)
1-5 기타
  • Ctrl + Shift + M : 특정 클래스  Import 시키기
  • Ctrl + Shift + O : 자동으로 Import 시키기
  • Ctrl + Shift + F : 코드 자동으로 정리 시키기
  • Ctrl + Shift + G : 특정 메써드나 필드를 Reference하고 있는 곳을 찾는다.
1-6 Information
  • Ctrl + Shift + R : 리소스 찾기
  • Ctrl + O : 레이어로 현재 파일의 Outline 보여줌
  • Ctrl + T : 레이어로 계층 구조 보여짐
  • F3 : 해당 메서드나 클래스가 정의된 곳으로 이동




2. Navigation 

2-1 에디터간의 이동
  • Ctrl + E : 에디터안에서 열린 파일간의 이동(작은 레이어로 뜬다.)
  • Ctrl + Shift + E : 에디터안에서 열린 파일간의 이동
  • Ctrl + F6 : 에디터안에 열린 파일간 이동하는데 F6 누를 때마다 하나씩 순차적으로 넘어감
  • Ctrl + F7  :  다음 View로 이동
  • Ctrl + Shift + F7 +  :  이전 View로 이동
  • Ctrl + F8 : 퍼스펙티브 간 전환
  • F12 : 컴파일 중 에러 등으로 포커스가 다른데로 갔을 때 Editor로 커서 이동

3. Debugging(디버깅)

3-1 디버깅 단축키

  • Ctrl + Shift + B : 현 커서의 위치에 브레이크 포인터 설정/해제
  • F11 : 디버깅 시작
  • F8 :  디버깅 계속
  • F6 : 한줄씩 실행(Step Over)
  • F5 : 한줄씩 실행 하되 함수일 경우 그 함수 내부로 들어감(Step Into)
  • Ctrl + R : 현재 라인까지 실행(Run to Line)

4. Run (컴파일 및 실행)

  • Ctrl + S : 자동으로 컴파일
  • Alt + Shift + X , J : Run Java Application (Alt + Shift + X 그외 여러가지 옵션이 있다.)

출처 : http://calmmass.tistory.com/126

이클립스 속도 올리기 글을 쓰다가.. 번거롭게 휴지통을 누르는게.. 불편해서, 자동으로 이런 기능을 해 주는게 없나 해서.. 구글링을 해 봤더니.. 역시나 있더군요.^ ^;;

플러그인으로 지원합니다.


이 사이트에서 친절하게도 2개의 플러그인을 지원해 줍니다. 둘 중 하나를 마음에 드시는 걸로 설치 하시면 됩니다.

두 프로그램 다 설치 및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둘다 압축을 풀고, 플러그인 폴더에 복사해 넣어 주면 설치가 됩니다. 설치 과정을 거쳐서 설치 하셔도 되고요..
그리고 Activate automatic GC when memory reaches below setup size의 옵션을 켜 주시면, 지정해 둔 사이즈 이상이 되면, 정해놓은 주기대로 garbage collector를 동작하게 됩니다.

아래는 홈페이지를 펌해 왔습니다. 보시고 사용할 플러그인을 고르세요.



Eclipse Status Monitor

The Eclipse Status Memory Monitor Plugin offers the continiously dynamic inspection of the Eclipse IDE's memory consumption and the automatic and forced execution of garbage collection for the Eclipse IDE. The Status Memory Monitor installs itself into the Eclipse status line area and is customizable to the users needs.

The Status Memory Monitor Plugin for the Eclipse Workbench offers:

  • The continiously dynamic inspection of the Eclipse Workbench memory consumption inside the Eclipse status line
  • The automatic and forced execution of garbage collection for Eclipse
  • The visualisation of a setable warn memory indication for Eclipse
  • The individual settup of the Memory Monitors sampling rate
  • To customize it's options and used colors individually
  • Included online help

Screenshots



Compatibility

This Plugin has been tested with Eclipse R3.1 and a Java jdk1.5.0_02 under Win2K/XP.

Download

File Size Date
stmemmonitor_v1.1_R3.1.1_dist.zip

99 KB
2005-07-02


Eclipse Memory Monitor

The Eclipse Memory Monitor is a port of the Kyrsoft JBuilder Memory Monitor OpenTool to the Eclipse Workbench as an Eclipse SWT based Plugin. The JBuilder Memory Monitor version has been around for years and has proven to be a valuable tool there.

The Memory Monitor Plugin for the Eclipse Workbench offers:

  • The continiously dynamic inspection of the Eclipse Workbench memory consumption inside the Eclipse status line
  • The automatic and forced execution of garbage collection for Eclipse
  • The visualisation of a setable warn memory indication for Eclipse
  • The individual settup of the Memory Monitors sampling rate
  • To customize it's options and used colors individually
  • Included online help

Screenshots


Compatibility

This Plugin has been tested with Eclipse R3.1 and a Java jdk1.5.0_02 under Win2K/XP.

Download

File Size Date
swt_memmonitor_v1.6_R3.1.1_dist.zip

144 KB
2005-11-24

출처 : http://gyuha.tistory.com/290

'Dev > eclip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립스 리치 클라이언트 플랫폼(RCP)  (0) 2011.06.09
이클립스 단축키  (0) 2011.04.30
이클립스 속도 올리기  (0) 2011.04.29
Boost Eclipse speed performances  (1) 2011.04.29

모델1의 아키텍쳐

모델2의 아키텍쳐
 

모델1
Model 1의 장점
§   개발 속도가 빠르다.
§   개발자의 스킬이 낮아도 배우기 쉬워 빠르게 적용할 수 있다.
Model 1의 단점
§   JSP페이지에서 프리젠테이션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모두 포함 때문에 JSP페이지가 너무 복잡해 진다.
§   프리젠테이션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분리된 작업이 어려움
§   JSP페이지의 코드가 복잡해짐으로 인해 유지보수 하기 어려워 진다.

모델2
Model 2 장점
§   점차 Web Application 이 복잡해 지고,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방식의 개발방식의
   요구가 증대되었
다.
§   점차 개발시의 개발 비용보다는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개발 방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졌다.
§   대규모 프로젝트 하에서 Model 1 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대두 되었다.
§   MVC에서 View 는 JSP 가 담당하게 되고 , Controller 는 Servlet 이담당 하며,
   Model 은 Appllication 을 이용하여
개발하게 된다.
Model 2 단점
§   Model 2로 개발방식은 Model 1보다 어렵다.
§   Model 1으로 개발 하는것 보다 개발시간이 더 요구된다.

출처 : http://cms85.tistory.com/

'Dev > JSP & Servle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JSP] JSP Request 모든변수 뽑기  (0) 2011.04.29
1. jboss.org 접속, Projects-Server-Application Server에서 Downloads 클릭
2. Name : 원하는 버전 다운로드
3. 받은 압축파일을 압축해제 후 Server로 등록할 경로에 가져다 놓기

JBoss테스트
1. 이클립스 실행
2. 이클립스에서 Window-Proferences에서 Server 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된다.
    아래의 화면에서 Add 버튼을 클릭한다.

3. Add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되는데 아래의 화면에서 JBoss맞는 버전을 선택 한 후 Next

4. Next버튼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Browser를 클릭

5. 설치해놓은 JBoss서버 경로를 지정한 후 확인 버튼 클릭

6.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 후 Finish

7. OK 클릭

8. 실행시킬 프로젝트를 마우스 오른쪽으로 클릭하여 Properties 클릭

9. 왼쪽 메뉴의 Targeted Runtimes 클릭 -> JBoss체크 -> Apply 클릭

10. 왼쪽메뉴의 Java Build Path 클릭 -> Source 클릭 -> Default output folder 경로를 설정

11. Libraries클릭 -> Add Library 클릭

12. Server Runtime 클릭 -> Next 클릭

13. JBoss 클릭 -> Finish 클릭

14. Server창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new -> Server 클릭

15. JBoss 설치 버전 선택 -> Next

16. Default JRE 선택 -> Next 

17. Finsh 클릭 

18. Server창에 생긴 JBoss서버를 마우스 오른쪽 클릭 -> Add and Remove 클릭

19. 추가하려는 프로젝트를 Add 시킨 후 Finish

20. JBoss Start!! ㄱㄱㄱ


출처 : http://cms85.tistory.com/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내부 클래스 패스 우선순위  (0) 2011.05.11
Web Server 와 WAS  (0) 2011.04.30
apache ANT 설치  (1) 2011.04.30
JRebel Tools  (0) 2011.04.30
[jeus] jsp work directory (jsp-work-dir) 설정  (0) 2011.04.06
Web Server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웹의 HTTP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가 들어 있는 파일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웹사이트가 운영되고 있는 인터넷상의 모든 컴퓨터들에는 모두 웹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가장 보편적인 웹서버들로는 32 비트 윈도우와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계에서 모두 쓸 수 있는 아파치와, 윈도우 NT에 딸려 나오는 IIS, 그리고 넷스케이프엔터프라이즈 서버 등이 있다. 그밖에 네트웨어 운영체계를 쓰는 사용자들을 위한 노벨의 웹서버, 주로 IBM의 OS/390AS/400 고객들을 위한 IBM의 로터스 도미노 서버를 비롯, 다른 웹서버들도 있다.

웹서버들은 흔히 전자우편, FTP 파일의 다운로드, 그리고 웹페이지 구축, 발간 등에 필요한 인터넷 및 인트라넷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의 커다란 패키지의 일부로서 나온다. 웹서버를 고를 때 고려해야할 사항으로는, 운영체계나 다른 서버들과 얼마나 잘 어울려 동작할 것이냐 하는 것과, 서버 측의 프로그래밍, 퍼블리싱, 검색엔진 등을 처리하는 능력, 그리고 함께 따라오는 구축도구 등이 있다.


 WAS (Web Application Server)
웹과 기업의 기간 시스템 사이에 위치하면서, 웹 기반 분산 시스템 개발을 쉽게 도와주고 안정적인 트랙잰션 처리를 보장해 주는 일종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서버.

3계층 웹 컴퓨팅 환경에서 기존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환경에서 트랜잭션 처리및 다른 기존 시스템 간의 애플리케이션 연동을 등을 주된 기능으로 하고 있다.

요즘들어서는 WAS는 주로 데이터베이스 조회나 일반적인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처리를 위해 다양한 언어로 개발된 인터넷/인트라넷 환경의 소프트웨어로 많이 불리운다. 자바스크립트나 JSP 등과 같은 스크립트 및 서비스들은 대개 최신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브라우저 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검색 결과를 제공한다.

WAS를 비롯한 애플리케이션 서버들은, 웹서버 즉 HTTP 서버와 같은 컴퓨터를 공유할 수도 있지만 별개의 컴퓨터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대규모 사이트에서는, 오히려 WAS와 웹서버 등을 위해 여러 대의 컴퓨터가 동원되기도 한다.
넷스케이프의 Netscape Application Server, Bea의 Weblogic Enterprise, 볼랜드의 Appserver, 그리고 IBM의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등의 WAS 대표적인 제품들이다.


※Web Server와 WAS와 차이※

- Web Server 의 정의 : Web Client(웹 브라우저)에게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정적인 HTML이나 jpeg, gif 같은 이미지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하는 역할

-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정의
   ○ Server 단에서 Application을 동작할 수 있도록 지원함 => Jeus
   ○ 기존 웹 서버와 달리 동적인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적합한 형태로 변화, Web Client(브라우저)에게는 결과값만 전송함.
   ○ Container(컨테이너)라는 용어로 쓰이며, 초창기는 CGI, 그 후에서는 Servlet, , JSP, ASP 등의 프로그램으로 사용됨

- Web Server와 WAS의 구성에 따른 분류
   ○ WAS와 WebServer를 분리하지 않는 경우 
   모든 컨텐츠를 한곳에 집중시켜 웹서버와 WAS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 스위치를 통한 로드 밸러싱, 사용자가 적을 경우 효율적
 
   ○  WAS와 WebServer를 분리한 경우
   웹서버와 WAS의 기능적 분류를 통해 효과적인 분산을 유도, 정적인 데이터는 웹서버에서 처리, 동적인 데이터는 WAS가 처리
 
   ○  WAS 여러개와 WebServer를 분리한 경우
   WAS단을 프리젠테이션 로직와 비즈니스 로직으로 구분하여 구성, 특정 logic의 부하에 따라 적절한 대응할 수 있지만 설계단
   계 유지보수 단계가 복잡해 질 수가 있다. 


 WAS 와 Web Server 종류

   ○ WAS 종류
   tomcat, tMax jeus, BEA Web Logic, IBM Webspere, JBOSS,Bluestone, Gemston, inprise, Oracle, PowerTier,Apptivity,
   silverStream
   ○ Web Server 
    IIS, apache, tMax, WebtoB

   - tomcat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자바 서블릿을 실행시키고 JSP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만들
       어준다. 자바 서블릿과 JSP 규격 '참조용 구현'으로 평가되고 있는 톰캣은, 개발자들의 개방적 협력 작업의 산물로 바이너리
       버전과 코어버전 둘 모두를 아파치 웹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다. 톰캣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내부 웹서버와 함께 독립
       적으로 사용 될 수도 있지만 아파치나 넷스케이프 엔터프라이즈 서버, IIS, 마이크로소프트의 PWS 등 다른 웹서버와 함께 사
       용할 수도 있다. 톰캣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jre  1.1  이상에 부합되는 자바 런타입 환경이 필요하다.

[출처] Web Server 와 WAS|작성자


'W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내부 클래스 패스 우선순위  (0) 2011.05.11
JBoss 설정  (0) 2011.04.30
apache ANT 설치  (1) 2011.04.30
JRebel Tools  (0) 2011.04.30
[jeus] jsp work directory (jsp-work-dir) 설정  (0) 2011.04.06

+ Recent posts